* 책 크기 : 정본 A4(20.5 x 29.3cm) * 비단표지 : 상단의 도서 이미지가 비단표지입니다. 찢어질 염려가 없습니다. * 능화표지 : 전통 匠人이 손수 배접/능화판 작업으로 고급스럽게 제작됩니다. * 포갑추가 : 포갑은 별도 품목으로 주문시 [포갑추가]를 하면 맞춤제작됩니다.
 <능화표지 견본> <포갑 견본>
▣原本 書誌 -도서명 : 圃隱先生集 -편저자 : 鄭夢周(1337-1392) 著 -편집자 : 柳成龍(1542-1607) 奉敎校正, 宋時烈(1607∼1689) 釐正 -판사항 : 木版本(己丑, 1769)[崧陽書院藏板], 木版混入木活字補版(庚子, 1900)[崧陽追刻本]. 일명 釐正本(리정본). -발행사항 : 崧陽書院(開城), 光武4(1900) -책권수 : 共4冊[原集首1卷, 原集4卷, 續錄首1卷, 續錄3卷, 新增] -형태사항 : 四周雙邊 半郭 20.0 x 14.2 cm, 有界, 10行20字 註雙行, 上下向3葉花紋魚尾 ; 31.5 X 19.6 cm -주기사항 : 表題: 圃隱先生集 重刊序: 崇禎己亥(孝宗10,1659)...宋時烈序 文集序: 皇明萬曆乙酉(1585)...盧守愼奉敎謹序 詩卷序: 正統三年(1438)...權採奉敎序 詩卷序: 正統二年(1437)…朴信謹序 詩藁序: 永樂己丑(1409)…卞季良謹序 詩卷序: 河崙序 詩集跋: 正統四年己未(1439)...鄭宗誠謹跋 詩集新溪開刊跋: 嘉靖癸巳(1533)…柳溥謹跋 文集跋: 柳成龍奉敎謹跋(1584) 重刊跋: 萬曆丁未(1607)...曹好益 重刊跋: 鳳城重刊之回甲(1719/1720)...[鄭]纘輝謹跋 重刊跋: 時上章困敦(庚子, 光武4,1900)…宋秉璿謹跋
*목차 포은선생집(圃隱先生集)
冊1 圃隱先生集重刊序 圃隱先生詩卷序 圃隱先生詩卷序 圃隱先生詩藁序 圃隱先生詩卷序 圃隱先生集 目錄 卷之一 卷之二
冊2 卷之三 卷之四 圃隱先生詩集跋 圃隱先生集刊跋
冊3 圃隱先生集續錄 卷首 卷之一 *追錄 : 文科榜目 *追錄 : 圃隱先生畫像 *학선재에서 추가로 합본하여 발행합니다.
冊4 卷之二 卷之三 圃隱先生集重刊跋 圃隱先生集重刊跋
*견본이미지 및 해제
 <컬러영인본 견본>
 *본 문집은 開城 '숭양서원'에서 <崧陽書院藏板>(1769)에 새로 증보한 내용을 木活字補版으로 추가하여 발간한 <崧陽追刻本>(1900)이다. <숭양서원장판>은 류성룡이 기존 문집을 교정하면서 錯亂한 <奉化本>을 송시열의 조언으로 釐正하여 원형을 되찾은 판본이다. 일명 '釐正本(리정본)'이라 부른다.
 <원집>
 <속록>
 *대제학 朴允文의 처 <해양군대부인김씨묘지명>(73세) : 恭愍王 23(1374)년 포은 38세 撰
 <신증 증보판>
 *추록 : 포은선생 문과방목 : 공민왕 9년(1360) 庚子榜 *공민왕 때 최고인재들로서 문익점도 같은 동방이었다.
 *포은의 동방생 : 박계양(19세)[개명 박돈지] *부친 이름 '允文'이 '文允'으로 잘못 기록되었는데, 문집 교정자였던 류성룡의 소행이다.
 *추록 <포은선생초상>(1880) : 왼쪽 款識(관지)에 '숭양서원본'을 重摹한 것이라 적고 있다. (출처 : 국립중앙박물관, www.museum.go.kr)
*포은집의 편찬 및 간행 내력 저자의 詩文은 아들 鄭宗誠이 蒐集ㆍ編次하여 1439년 목판으로 간행하였다.《초간본》 이 초간본은 전하지 않는다. 그 후 玄孫 鄭世臣이 新溪縣令으로 부임하여 1533년에 문집을 간행하였다.《新溪本》 이 신계본은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판본으로 규장각(가람貴819.4 J464P), 고려대 중앙도서관 만송문고(晚貴345) 등에 소장되어 있다. 그리고 明ㆍ宣 연간에 開城府에서 韓濩의 글씨로 板刻되어 문집이 간행되었다.《開城本》 이 개성본은 신계본에 詩 3수가 더 첨가되었으며 현재 전하지 않는다. 이후 校書館에서 鑄字로 문집이 간행되었다.《館本》 이 관본은 年譜에 신계본ㆍ개성본과는 다르게 사건이 없으면 年을 표시하지 않았다. 또한 위 두 본이 卷上ㆍ卷下로 편차된 데 반하여 卷1, 卷2로 편차되어 있으며 行狀과 諸人의 기술을 모은 附錄이 실려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貴155-文70-7)에 소장되어 있다. 1584년에는 宣祖의 명에 의하여 柳成龍이 新溪本을 바탕으로 개성본ㆍ관본을 참고하여 문집을 校正하였다. 이 교정본은 위 세 본의 年譜를 비교하여 行狀ㆍ本傳까지 참고하여 年譜攷異를 만들고, 새로 찾은 詩文을 拾遺로 편차하고 目錄을 첨부하였다. 그러나 이 교정본은 미처 간행되기도 전에 永川 臨皐書院의 儒生들이 가져다가 1584년경 간행하고 板刻은 서원에 보관하였으나 임진왜란 때 소실되었다.《永川舊刻本》 이 본은 현재 전하지 않는다. 臨皐書院에 보관된 판각이 소실된 후 1607년 두 종의 문집이 木板으로 간행되었다. 첫째는 永川舊刻本의 체제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遺像을 추가하고 11행 18자의 목판본으로 간행된 문집이다. 이 본의 目錄에는 拾遺 뒤에 遺墨이 있으나 문집 안에는 실려 있지 않다. 현재 연세대학교 중앙도서관(811.96-정몽주-포-라)에 소장되어 있다. 둘째는 임고서원 유생들이 난리 중에 흩어진 문집을 收拾하여 完本을 만들고, 方伯 柳永詢과 郡守 黃汝一의 협조로 慶州와 永川에서 나누어 刻板한 뒤 임고서원에서 10행 20자의 목판본으로 간행한 문집이다. 이 본은 遺墨과 曺好益의 跋이 추가되어 있고 의심난 곳에는 頭註가 붙어 있다. 현재 국립중앙도서관(승계古3648-文70-82)에 零本 1冊이 소장되어 있다. 다음 해인 1608년에 7대손 鄭應聖이 黃海道 兵馬水軍節度使로 있으면서 黃州兵營에서 開城本을 그대로 판각하여 문집을 간행하였다.《黃州兵營本》 이 본은 현재 국립중앙도서관(古3644-151) 등에 소장되어 있다. 1659년에는 후손 鄭雲翼이 鳳城(奉化)현감으로 부임하여 苞山(玄風)현감 鄭維城과 함께 嶺伯 洪處厚의 도움을 받아 奉化에서 木板으로 문집을 간행하였다.《奉化本》 이 본은 年譜 뒤에 祭祝文 등 약간을 補續하고 宋時烈의 序가 있다. 현재 규장각에 소장되어 있다. 1677년에는 永川舊刻本에 奉化本의 補續을 取入하고 諸家의 記述을 新增附錄으로 添附하여 문집이 간행되었다.《丁巳重刊本》 이 본은 附錄의 本傳ㆍ行狀ㆍ跋 등에 卷을 따로 붙여 9권으로 간행되었으며 뒤에 ‘丁巳重刊’의 刊記가 있다. 현재 간송미술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719년에 11대손 鄭纘輝가 서애 柳成龍의 校正本이 奉化에서 간행될 때 錯亂되었던 것을 바로잡아 4編(卷)의 옛 모양을 회복하고, 이어 조정에서 선생을 褒贈한 기록 및 諸賢의 글을 모아 續錄(續集)을 만들었으나 간행하지 못하고 卒하였다. 그 후 정찬휘의 再從孫인 鄭觀濟가 개성유수 元仁孫과 도모하여 이 책을 다시 讎校하고 약간의 글을 보태어 1769년 숭양서원에서 原集 4권, 續集 3권으로 문집을 간행하였다.《崧陽本》 이 본은 규장각, 고려대 중앙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1866년에는 17대손 鄭元弼이 永陽(永川)郡守로 부임해 와서 宗人 및 臨皐書院 유생들과 함께 문집을 간행하였다.《丙寅再刊本》 이 본에는 柳厚祚의 跋이 실려 있고, 현재 고려대학교 만송문고(晚D1-A1E)에 소장되어 있다. 1900년에는 후손 鄭煥翼이 鄭世基ㆍ鄭然徽와 함께 開城本을 위주로 永川本을 보충하여 續集을 重刊하였다.《開城新本》 이 본은 판본의 刓缺된 부분을 活字로 補用한 곳이 많다. 현재 규장각(奎4721) 등에 소장되어 있다. 개성신본이 活字로 補用한 부분이 많았기 때문에 1903년에 영남의 사림들이 후손과 함께 晉州의 玉山齋에서 13권 5책의 목판본으로 문집을 다시 간행하였다.《玉山齋本》 이 본은 凡例와 年譜別本이 실려 있어 「포은집」의 편찬, 간행관계를 아는 데 도움이 된다. 현재 고려대학교 중앙도서관(D1-A1C) 등에 소장되어 있다. 1914년에는 숭양서원에서 鉛活字로 문집이 간행되었다.《崧陽重刊本》 이 본은 성균관대학교 중앙도서관(D3B-1106)에 소장되어 있다. 1985년에는 迎日鄭氏圃隱公派宗約院에서 국역본 및 영인본이 간행된 바 있다.(출처 : 고전번역원)
|